악재가 호재가 되는 모순의 시간
지금 상승하는 증시가 연속성을 갖기 어려울 것이라 보는 것은 모순에서 출발한다.
연초부터 경제지표가 예상보다 가파른 하락세를 보이자 의외로 글로벌 주요국들이 발빠른 대처에 나서는 모습이다.
중국은 지급준비율 인하스케줄을 공개했고, 미국 연준의장은 금리 인상을 서두르지 않을 수 있다는 뉘앙스를 풍기면서 연내 금리 인상 횟수가 작년에 예상했던 것보다 줄어들 것이라는 기대감이 시장을 지배해 시장이 빠르게 안정감을 찾고 있다.
심지어 연말에 가서는 기준금리를 인하 할 수도 있다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미국을 제외하면 금리를 인상할 수 있는 국가는 여전히 없다.
중국 경제지표는 경기부양책을 얼마나 빨리 그리고 강하게 내놓을 것인가를 재촉하는 상황이고, 독일도 연초에 받아본 지난해 12월 경제지표는 예상보다도 부진했다.
독일 경제지표가 이렇게 무너지게 되면 ECB의 자산축소 및 기준금리 인상 시점도 예단하기 어려워질 가능성이 높다.
경제 상황이 여의치 않을 것이라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그럼에도 그 시기가 너무 빠르고 가파르게 진행되고 있다는 점에서 시장이 혼란스러워 하고 있는 모습이다.
현재 시장흐름을 보면 ‘악재가 호재가’ 되는 상황이다.
경제지표가 나빠질수록 경기부양책이 나오는 시점과 강도가 강해질 것이기 때문에 부진한 지표가 오히려 시장에는 호재가 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만일 주식시장의 흐름이 모든 지표에 선행한다는 말을 온전히 받아드린다면 시장은 이미 주요국 정부에서 親시장적인 정책이 나올 것이고, 정책효과로 인해 부정적인 상황이 개선될 것이라는 결론에까지 이르는 모습이다.
부정적 상황은 이미 시장에 모두 반영되었고, 상황 개선이 기업이익개선까지 이끌어 낼 것이라는 기대가 한껏 달아 오른 모습이다.
오히려 시장의 상승을 기대한다면 앞으로 발표되는 실적과 경제지표가 나빠지기를 바라는 것이 더 적절한 기대일 가능성이 높다.
1월과 2월을 지내는 기간 동안 경제지표가 나빠질수록 시장에는 호재가 되는 이상한 경험을 할 가능성이 높다.
글로벌 증시가 1~2월에 상승세를 보인다면 다시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기대감이 고개를 들게 될 것이다.
이는 다시 상단을 통제하는 재료가 될 가능성이 높다.
결국 지금 랠리가 추세를 만들 수 있을지는 의문이 많은 상황이다.
중국이 부진할수록 호재
나아가서는 중국의 수출증가율도 확연하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미국의 관세부과가 본격화되기 전에 가능한 많은 물량을 밀어 내듯 수출하고 있어 중국의 수출지표가 양호하다는 추측을 뒷받침주는 그림이다.
중국의 수출이 감소하면 여전히 중국에 중간재를 수출하는 우리 입장에서는 고민이 될 수 밖에 없다.
결국 우리나라의 수출 증가율이 역성장에 들어서는 것이 비단 반도체뿐만 아니라 전반적으로 대부분의 산업들이 수출난에 빠져들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중국의 정책을 기대하기 위해서는 중국의 경제지표가 더 나빠져야 할 것이다.
이미 1월 15일과 25일에는 지급준비율(RRR)을 0.5%포인트씩 내리기로 했다.
또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세금 2000억 위안(약 33조원)을 깎아주기로 했다.
중소기업 지원 일환으로 TMLF(Target medium-term lending facility) 정책을 새롭게 마련해 1월 하순부터 가동하겠다고 인민은행장이 언급하기도 했다.
기존 MLF는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단기자금의 성격이었다면 TMLF는 3년간 사용할 수 있고, 금리도 MLF보다 15bp정도 낮게 책정할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이정도로는 중국의 경제상황을 돌려 놓기에는 역부족으로 보인다.
중국이 TMLF카드를 꺼내는 것도 결국은 다시 레버리지를 쓸수 있게 해주는 간접적인 방식인데 중국이 가장 경계하는 상황 중 하나인 기업부채 해소를 이번에도 포기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포기를 할 것이라면 보다 확실하고 분명한 정책이 필요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중국 경제지표는 더 나빠져야 한다.
이러한 모순이 커질 때 주식시장은 조금 더 상승할 수 있는 동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지난 주 발표된 중국의 생산자물가(PPI)는 중국의 정책보다 조금 더 가까운 시간 내에 부담이 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Fig. 10]를 보면 중국의 생산자물가는 글로벌 기업의 이익증가율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소비자물가나 생산자물가 모두 기대치를 밑도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이 현상은 당장 정책으로 풀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시장이 더 조정을 받고, 지표가 더 부진해져야 역으로 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지표의 부진을 덮어 버리는 효과를 누릴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인내일 것이다.
미국도 떨어져라!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2019년 예산안에 멕시코국경에 장벽을 설치하는 비용을 넣지 않으면 싸인을 하지 않겠다는 엄포가 실제로 실행되면서 연방정부는 셧다운된 상태다.
흥미로운 부분은 [Fig.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율이 떨어지면 달러인덱스도 함께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2017~2018년에 계속 나타나던 현상이다.
美중앙정부가 셧다운에 들어서는 것은 미국에 대한 불안감을 증폭시키게 된다.
달러가치가 하락하면 이는 이머징 시장에는 우호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다.
이를 감안하면 연방정부 셧다운이 더 길어져 트럼트 대통령의 지지율이 더 떨어지는 것이 반등에 나서고 있는 이머징 시장에는 호재가 되는 것으로 연결된다.
이 또한 모순이 아닐 수 없다.
미국 연방정부의 예산안 통과가 지연될수록,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율이 하락할수록 미국의 정치 및 경제의 불확실은 높아져 미국과 글로벌 주식시장에는 악영향을 미쳐야 한다.
그럼에도 트럼프 대통령의 고집이 지지율을 하락시키는 것이 달러가치를 떨어트려 이머징 증시에 호재가 된다는 것은 결과주의적 해석이겠지마 적어도 지금 나타나고 있는 현상은 그러하다.
그러나 모순으로 인해 상승하는 시장은 한계가 있기 마련이다.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기대하기 위해서는 경제지표는 더 나빠져야 하고, 연방정부 셧다운 기간도 더 길어져 대통령의 지지율도 더 하락해야 한다.
그러나 만일 주식시장이 다시 좋아지면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우려는 다시 고개를 들 수 있다.
금리 정상화라는 명분만으로도 금리 인상은 충분하다.
통화정책을 느슨하게 가져간다고 해서 경제지표가 개선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시장은 펀더멘털과 분리되어 움직일 수 없다.
금융위기 직후에는 양적완화정책에 기대어 주식시장이 움직이는 모습을 보였지만 지금은 내놓을 수 있는 정책이 금리 인상 속도를 제어하
는 것 밖에는 없다.
지표는 무조건 좋아야 한다.
여기서 지표가 주저 않아 통화정책이 느슨해지는 것이 주식시장에는 약이기보다는 후유증을 더 키울 수 있다.
지금은 뭐든지 다 좋아야 한다.
리포트 원문 link : http://file.mk.co.kr/imss/write/20190114144204__00.pdf
Investory 인베스토리 텔레그램 메신저 채널에 입장해서 새로운 글 알림 받기 : https://t.me/investory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