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한국 경제

(7)
2019년 장래인구특별추계를 반영한 내·외국인 인구전망 : 2017~2040년 (통계청) 2010년 10월 15일 통계청에서 인구전망 자료가 발간됐다.  2020년 총인구*는 5,178만명으로 내국인은 5,005만명(96.7%), 외국인은 173만 명(3.3%)  * 대한민국에 3개월 이상 거주하는 내국인과 외국인의 합  ㅇ 2040년 총인구는 5,086만명으로 감소, 내국인 구성비는 95.5%(4,858만명)로 감소, 외국인은 4.5%(228만명)로 2020년 대비 외국인의 구성비는 1.4배 높아질 전망    내국인 생산연령인구의 구성비는 2020년 71.5%에서 2040년 55.6%로 감소할 전망  ㅇ 2020년 대비 2040년 내국인 생산연령인구의 구성비는 71.5%(3,579만명)에서 55.6%로, 유소년인구는 12.4%(623만명)에서 10.1%로 감소하고, 고령인구는 16.1%(8..
국내 1인가구 수, 1인가구 증가율, 1인가구 비중 자료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앞으로 1인 가구 수가 늘어날 것은 자명한 일이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의 "1코노미 시대 주거공간, 셰어하우스" 리포트에 국내 1인 가구 현황에 대해 정리한 내용이 있어 블로그에 정리한다.  *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 1코노미 시대 주거공간, 셰어하우스 리포트 전문 자료 linkwww.kbfg.com/kbresearch/vitamin/reportView.do?vitaminId=2000175    ○ 국내 1인가구 수는 2019년 599만 가구(29.8%)에서 2047년 832만 가구(37.3%)로 증가   (1인가구 수) 2019년 기준 국내 1인가구 수는 599만 가구로 2000년 226만 대비 165.5% 증가하였으며, 2047년에는 832만 가구에 이를 전망  (1인가구 증가율) 201..
구조적 소비불황의 시작 - 세금과 이자 비용 증가에 따른 가처분 소득 감소 (한국투자증권) 세금과 이자 비용 증가에 따른 가처분 소득 감소 사람은 불안하면 저축을 늘린다. 내가 아무리 돈이 많아도 앞날이 불안하면 돈을 쓸 수 없다. 이것은 매우 합리적 의사결정이다. 그러나 개개인의 합리적 의사결정이 전체 경제에는 독이 된다는 사실을 맨 처음 간파한 이는 케인즈였다. 그래서 이걸 저축의 역설이라고 불렀다. 지금 한국이 처한 상황은 저축의 역설과 크게 다르지 않다. 한국의 가계는 현재 이중고에 시달리며 저축률을 높일 것이기 때문이다. 우선 가처분소득의 감소가 심각하다. 통계청에서 분기에 한번씩 발표하는 가계동향조사에 보면 비소비지출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8년 3분기 22.4%를 기록, 지난 몇 년간 유지되었던 18%대를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1]. 비소비지출이 증가하면 당연히 가..
자본시장 혁신과제 (금융위) 자본시장을 통한 자금조달 체계 다양화 □ 사모발행 범위 확대* 및 전문투자자만을 대상으로 한 사모발행에는 1:1 청약권유 외에 공개적 자금모집(광고, SNS 등)을 허용 * (현행) 일반투자자에게 50인 미만 청약권유시 사모 → (개선) 실제 청약한 일반투자자가 50인 미만인 경우 사모 □ 소액공모 자금조달금액을 확대‧이원화(10억원 이하 → 30억원 이하, 30억원〜100억원)하고 금액별 투자자보호 장치* 마련 * ① (30억원) 소액공모서류(현행) + 허위공시 손해배상책임 및 과징금(신설) * ② (30〜100억원) ① + 감독당국 신고ㆍ수리, 매년 외부감사 보고서 제출 □ 크라우드펀딩 자금조달 금액(7억원 → 15억원) 및 이용가능 기업 범위 확대(창업 7년내 기업 → 중소기업) 기업보유 자산의 유..
과거 trailing PBR 1배 하회 사례와 주식시장 저점 (한국투자증권) 과거 trailing PBR 1배 하회 사례와 주식시장 저점 2000년 이후 실질금리가 올라가는 구간에서 시장은 어떤 형태로든 홍역을 치렀다. 대표적인 사례가 2008년과 2013년인데, 2008년은 금융위기 결과물로 실질 금리가 올라간 것이라 지금과는 다르다. 그러나 2013년은 연준의 갑작스런 테이퍼링 중단 선언 등 통화긴축이 주요 원인이었기 때문에 현 상황과 상당히 유사하다. 최근 연준은 미중 무역분쟁으로 경기둔화 우려가 거세지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중립금리 이상 기준금리를 올려야 한다고 커뮤니케이션하고 있다. 따라서 채권시장 안정이 확인될 때까지 주식시장도 급등락이 반복될 가능성이 있다. 만약 채권시장이 실물경제와의 커뮤니케이션에 실패하여 경기가 침체국면까지 흐르게 될 경우 주식시장은 어디까지 하락..
고용불안, 임금수준이 실제로 결혼선택에 미치는 영향 (국회예산기획처) 국회예산정책처의 "우리나라 저출산의 원인과 경제적 영향" 리포트 중 고용불안, 임금수준이 실제로 결혼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내용을 발췌했다. 2018/10/28 - [경제/한국 경제] - 우리나라 저출산의 원인과 경제적 영향 (국회예산정책처)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상용직인 근로자는 임시/일용직 근로자에 비해 결혼확률이 4.35%p 높고, 정규직 근로자는 비정규직 근로자에 비해 결혼확률이 1.16%p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임금수준과 결혼확률과의 관계에 있어서 일자리 시작 당시 임금수준이 100만원 증가하면 결혼확률은 0.56%p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재의 임금수준이 100만원 증가하면 결혼확률은 3.3%p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우리나라 저출산의 원인과 경제적 영향 (국회예산정책처) 저출산 현상에 따른 경제활동인구 감소가 실물경제를 위축시킬 우려가 있어 그 대응이 시급하다. 분석 결과, 근로자의 안정된 고용과 임금수준 상승, 낮은 시간외 업무 부담은 결혼 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기혼 여성의 근로시간 단축과 어린이집·유치원 확충은 출산 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청년층의 고용안정화, 일·가정 양립을 위한 제도 확산, 보육인프라의 확충·개선 등을 통한 저출산 완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Ⅰ. 저출산의 사회·경제적 요인 1. 저출산의 인구학적 요인 우리나라 출생아 중 98%가 혼인 가구에서 태어나는 가운데 2017년 조혼인율은 5.2건으로 역대 최저 수준이며, 합계출산율이 가장 높은 20대 후반과 30대 초반의 여성인구가 15~49세 여성인구 중에서 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