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화 지수는 작년 한 해 동안 4.26% 상승했다.
그 원인 중 하나는 여타 선진국(EU/일본)과 차별화되었던 미국의 금리인상이었다.
올해 상반기 중에는 유로존과 일본의 추가적인 정책 정상화 가능성이 매우 낮기에 이들 국가와 미국과의 정책금리차가 확대된 상태가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
그럼에도 우리는 달러화가 현 수준 이상으로 강해지기 힘들다는 전망을 개진 중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고는 미국 재정적자 추이에 주목한다.
1990년대 이후 현 시점을 포함하여 총 4번의 연준 금리 인상기가 있었다.
이론적으로 중앙은행의 금리인상은 해당 국가 통화의 강세 요인이다.
하지만 미 연방정부의 재정적자가 심화되던 1994년과 2004년, 연준이 금리인상을 단행했을 당시 일정 시점 이후 달러가 약세로 돌아서는 모습을 보여 주었다.
반면, 재정흑자가 시현된 1999년, 달러화는 금리인상과 함께 지속적으로 강세를 보였다.
2017년 12월 최종 확정되어 작년부터 시행된 감세안(법인세 최고세율 35%→21%)과 트럼프 행정부의 재정지출 확대로 GDP 대비 재정적자는 더욱 늘어났다.
FY18 미 연방정부 총수입은 전년대비 0.4% 증가(법인세 수입은 YoY -31.1%)에 그친 반면, 총지출은 3.2% 늘어 연간 재정적자는 7,790억 달러로 증가했다.
FY18년 GDP대비 재정적자 비율은 전년대비 0.3%p 늘어난 3.8%를 기록했다.
FY19 재정적자 확대 우려는 더욱 커지고 있다.
이는 감세에 따른 세수 감소와 더불어, 트럼프 대통령이 FY19 국방예산을 7,500억 달러로 증액하는 국방부 요청에 동의(18년 12월)한 데 따른 것이다.
미 의회 예산국(CBO)는 FY19 연방정부 재정적자가 전년 수준을 상회하는 9,73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는 재정확대와 감세 효과가 상당 부분 약화된 상황에서 추가 부양책 운영 여력을 제약하는 요인이다.
올해 연준이 금리인상을 이어가더라도 연방정부 채무부담 누증은 결국 달러화 강세 기대를 낮추는 방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리포트 원문 link : http://hkconsensus.hankyung.com/apps.analysis/analysis.downpdf?report_idx=508295
Investory 인베스토리 텔레그램 메신저 채널에 입장해서 새로운 글 알림 받기 : https://t.me/investory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