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사 단일판매계약, 공급계약 체결 시 공시 기준은? - 매출공시, 계약공시 - 코스피 5%, 코스닥 10%
주식투자를 하다 보면, 아래와 같은 단일판매 · 공급계약 체결 공시를 본 적이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상장사가 공급계약을 체결했을 때 공시해야되는 기준은 어떻게 될까? 상장사가 코스피(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어 있느냐,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어 있느냐에 따라 기준이 다르다. 코스피 시장에 상장되어 있을 경우에는 작년 매출액의 5% 이상(자산 2조원 이상일 경우 25%)의 계약을 체결했을 경우, 그 다음날까지 공시해야 한다. 반면, 코스닥 시장에 상장되었을 경우, 작년 매출액의 10% 이상의 계약을 체결했을 경우, 그 다음날까지 공시해야 한다. 참고로, 계약금액이 공시 규정에 미달하더라도 기업 홍보를 위해 "자율공시"를 할 수는 있다. 하지만 공시를 한만큼 공시에 대한 리스크가 생기기 때문에 자..
코스피, 코스닥 주식시장 - 상장, 관리종목, 상장폐지 요건 등 거래소 규정 검색하는 방법
주식투자를 하거나, 증권업계에서 일을 하다 보면, 다음과 같은 요건을 찾아야 할 때가 있습니다. 1) 주식시장 상장 요건 2) 관리종목 지정 요건 3) 상장폐지 요건 이러한 상장, 관리종목, 상장폐지 요건이 궁금해서, 인터넷을 검색하다 보면, 글 쓴 사람이 제대로 알고 쓴 것인지, 혹시 내가 찾은 내용이 옛날 규정인 것은 아닌지 불안할 때가 있습니다. 특히 상부에 보고해야 되거나, 내가 투자한 주식이 상장 폐지될 위험이 있다면, 정확한 조항을 찾아야만 할 것입니다. 하지만 막상 근거 조항을 찾으려고 하면, 검색하기가 쉽지 않은게 주식시장 규정입니다. 그래서 주식시장 규정을 검색하는 방법에 대해서 글을 쓰고자 합니다. 거래소의 주식시장 규정은 "KRX 법규사이트"란 곳에 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