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244)
시멘트가격 반등 성공, 왜 지금에서야 가격정상화에 나섰는가? (한국기업평가) 2018년 5월 시멘트업계의 가격 정상화 선언 이후 업체별로 공시되는 시멘트 판매가격(공시기준)이 반등에 성공하였다. 업계 선두인 쌍용양회공업㈜는 시멘트 판가가 최근 7년 이래 최저 수준으로 떨어지자 과도한 할인을 자제하며, 시멘트 가격을 정상화하겠다고 밝혔다. 나머지 업체들도 하나둘씩 이에 동조하면서 2018년 상반기 기준 판가(누적 평균)는 1분기 대비 1% 가까이 상승하며 반등에 성공하였다. 금번 행태에서 시멘트 가격이 그 동안 비정상적이었다는 것이 고스란히 드러났다. 그 동안 시멘트업계에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라는 의문과 함께 왜 지금에서야 가격정상화에 나서게 되었는지에 대한 궁금증을 낳게 한다. 2015년 이후 시멘트 판가는 속절없이 내려가기만 했다. 시멘트 기준단가는 2014년 75,00..
제약, 바이오 기업의 연구개발비 회계처리 관련 감독지침 (금융위) 1. 추진 배경 □ 자본시장에서 투자자의 관심이 높은 제약․바이오 산업은 대표적인 고위험·고수익 분야로 인식됨 ㅇ 신약 개발을 위해서는 평균 15년간 1조원 이상이 소요되며, 후보물질의 최종 출시 성공률은 0.01% 수준 ㅇ 관련 국내 기업 중 상당수가 중소기업(전체의 90.1%, ’16년)으로 좁은 내수시장*에서 경쟁하는 구조 * 국내 의약품 시장은 약 21조원 규모(’16)로 글로벌 시장의 1.7% 수준 - 일부 기업은 안정적인 수익기반이 없어 매출액 저조 또는 영업손실 장기 지속 등에 따른 상장폐지 등을 우려 □ 최근 들어 제약·바이오 기업(상장사 163개) 주가의 급상승, 변동성 확대* 등으로 인해 투자자 보호 필요성이 증대 ㅇ 제약․바이오 기업의 개발비 자산 인식 등 회계 이슈로 인해 산업의 불..
고용불안, 임금수준이 실제로 결혼선택에 미치는 영향 (국회예산기획처) 국회예산정책처의 "우리나라 저출산의 원인과 경제적 영향" 리포트 중 고용불안, 임금수준이 실제로 결혼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내용을 발췌했다. 2018/10/28 - [경제/한국 경제] - 우리나라 저출산의 원인과 경제적 영향 (국회예산정책처)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상용직인 근로자는 임시/일용직 근로자에 비해 결혼확률이 4.35%p 높고, 정규직 근로자는 비정규직 근로자에 비해 결혼확률이 1.16%p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임금수준과 결혼확률과의 관계에 있어서 일자리 시작 당시 임금수준이 100만원 증가하면 결혼확률은 0.56%p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재의 임금수준이 100만원 증가하면 결혼확률은 3.3%p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우리나라 저출산의 원인과 경제적 영향 (국회예산정책처) 저출산 현상에 따른 경제활동인구 감소가 실물경제를 위축시킬 우려가 있어 그 대응이 시급하다. 분석 결과, 근로자의 안정된 고용과 임금수준 상승, 낮은 시간외 업무 부담은 결혼 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기혼 여성의 근로시간 단축과 어린이집·유치원 확충은 출산 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청년층의 고용안정화, 일·가정 양립을 위한 제도 확산, 보육인프라의 확충·개선 등을 통한 저출산 완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Ⅰ. 저출산의 사회·경제적 요인 1. 저출산의 인구학적 요인 우리나라 출생아 중 98%가 혼인 가구에서 태어나는 가운데 2017년 조혼인율은 5.2건으로 역대 최저 수준이며, 합계출산율이 가장 높은 20대 후반과 30대 초반의 여성인구가 15~49세 여성인구 중에서 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