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241)
[일반기업회계기준] 연결재무제표 작성범위 확대 - 종속회사(자회사)가 외부감사를 받지 않더라도 연결대상에 포함 상장사, 상장예정법인, 금융회사(일부 제외)는 국제회계기준(IFRS)를 적용하며, 그 외 기업은 일반기업회계기준을 적용한다.  IFRS에서는 외부감사 대상이 아닌 종속회사를 연결대상에 포함하지만,   일반기업회계기준에서는 연결재무제표 작성 시 외부감사 대상이 아닌 종속회사를 연결대상에서 제외했었다. 하지만 외부감사법 시행령 개정(’18.10.30일 공포)으로 금융위가 정하는 종속회사를 연결대상에서 제외하도록 하는 규정이 삭제됨에 따라,  일반기업회계기준 적용 지배회사도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IFRS)과 같이 외부감사 대상이 아닌 종속회사를 연결대상에 포함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19.11.1일 이후 시작되는 사업연도부터 적용)    ◦ (기존) 외감법령에 따라 소규모 종속기업 등을 연결범위에서 제외..
법인 대출 시 대표자 등 개인 연대보증 허용 조항 - 기업대출, PF대출, 담보대출 등 개인 연대보증은 금융기관 입장에서 강력한 채권회수 수단으로 대출이나 보증보험 취급시 신용, 담보 보강목적으로 광범위하게 활용되었다. 하지만 연대보증으로 주변사람들까지 경제적으로 타격이 발생하고, 재기기반, 패자부활기회가 박탈되는 등 부작용이 심하여, 은행에 이어 제2금융권(*)에서도 연대보증이 전면 폐지되었다.   (은행은 2012년 5월부터 연대보증이 폐지되었으며, 제2금융권은 2013년 7월부터 연대보증 폐지됨)  (*) 제2금융권 : 저축은행, 상호금융, 여전사(카드․캐피탈・할부・리스사), 보험사(생・손보, 보증보험)  모든 개인 연대보증을 폐지한 것은 아니고 책임경영, 생업유지를 위한 일부에 대해서는 예외를 인정하고 있다.     1. 개인 대출  개인 대출에 대해서는 예외없이 연대보증이 폐지된다..
특정 근보증, 한정 근보증, 포괄 근보증 - 연대보증의 책임범위 연대보증은 책임범위에 따라 특정 근보증, 한정 근보증, 포괄 근보증으로 구분된다.  - 특정 근보증 : 당해채무만 보증 (기한연장․증액 포함) [사례] 채무자 갑이 아파트담보대출을 받을 때 을이 보증인으로 입보하는 경우, A금융회사는 을에게 동 대출(기한연장․증액포함)에 대해서만 보증책임을 부과   - 한정 근보증 : 당해채무와 같은 종류의 채무까지 보증 (특정 + 동일종류 신규대출) [사례] 채무자 갑이 아파트담보대출을 받을 때 을이 보증인으로 입보하는 경우, 갑이 다른 부동산을 담보로 대출을 받아도 A금융회사는 을에게 그에 대한 보증책임을 부과   - 포괄 근보증 : 대출종류를 불문하고 모든 채무를 보증 (한정 + 다른종류 신규대출) [사례] 채무자 갑이 아파트담보대출을 받을 때 을이 보증인으로 입보..
법인의 주택 매입 시 취득세율 12% - 주택건설사업 목적으로 취득할 경우에도 중과세가 적용되나? 최근 지방세법 개정으로 법인의 주택 취득시 취득세율이 12%로 상향되었다.  법인의 경우 조정대상지역이냐 아니냐에 상관없이 1주택을 취득하더라도 일괄적으로 12%의 중과세율을 적용받는다.    지방세법 제13조의2(법인의 주택 취득 등 중과) ① 주택(제11조제1항제8호에 따른 주택을 말한다. 이 경우 주택의 공유지분이나 부속토지만을 소유하거나 취득하는 경우에도 주택을 소유하거나 취득한 것으로 본다. 이하 이 조 및 제13조의3에서 같다)을 유상거래를 원인으로 취득하는 경우로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제11조제1항제8호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 호에 따른 세율을 적용한다. 1. 법인(「국세기본법」 제13조에 따른 법인으로 보는 단체, 「부동산등기법」 제49조제1항제3호에 따른 법인 아닌..
BDI 지수 차트 보는 방법 (Baltic Dry Index 발틱운임지수 ) 팬오션, 대한해운 같은 해운업 회사를 공부하다 보면, BDI 지수를 보게 된다.  BDI 지수(발틱운임지수)란 석탄, 철광석, 시멘트, 곡물 등 원자재를 싣고 26개 주요 해상운송경로를 지나는 선적량 15천톤 이상 선박의 화물운임과 용선료 등을 종합해 산정하는 지수로, 배들이 원자재를 ‘얼마나 많이’ 싣고, ‘얼마나 자주’ 돌아다니는지를 알려주는 지표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 link를 확인하면 된다.  eiec.kdi.re.kr/material/clickView.do?click_yymm=201512&cidx=1267 발틱운임지수 (BDI; Baltic Dry Index) | click 경제교육 | KDI 경제정보센터발틱운임지수란석탄, 철광석, 시멘트, 곡물 등 원자재를 싣고 26개 주요 해상운송경로를 ..
기업을 분석할 때 증권신고서(투자설명서)를 활용하자 주식투자를 위해 기업을 분석할 때,  우리는 보통 금감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에서 사업보고서, 분기 및 반기보고서를 보거나,  증권사가 발행한 기업분석 리포트를 많이 참고합니다.   만약 내가 분석하는 회사가 최근에 상장(IPO)했거나, 공모사채를 발행했거나, 유상증자를 했다면,  증권신고서(투자설명서)를 공시했을텐데요.   이렇게 회사가 공시한 증권신고서(투자설명서)에는 자세하고 중요한 투자 정보가 담겨 있습니다.    먼저 증권신고서 제도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자본시장법상 증권신고서 제도는   투자자가 신규로 발행되거나 매도될 증권의 내용에 대하여 사전에 충분한 정보를 갖고 투자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취지가 있습니다.   투자를 하다보면, 아마 "공모"와 "사모", 그리고 "모집..
[기업공시 실무안내] 기업공시를 왜, 언제, 어떻게 하는지 궁금하다면 주식 투자를 하면서 금감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을 확인하는 사람이라면, 또는 회사에서 기업공시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번 쯤 이런 생각을 해봤을 것입니다. * 도대체 기업공시는 어떤 일이 있을 때 하는거야? * 지분공시나 분기공시는 언제까지 해야 되는거야? 다행히 금융감독원에서 정기적으로 "기업공시 실무안내"라는 책자를 발간하고 있는데요. 사업보고서, 분기 및 반기보고서 같은 정기공시부터, 증권신고서, 투자설명서 같은 발행공시, 그리고 지분공시까지 공시와 관련된 모든 것이 Q&A와 함께 정리되어 있습니다. 가장 최근 버전은 금융감독원에서 2023.02.13에 발간한 "기업공시 실무안내 2022.12" 입니다. * 금융감독원 "2022년 기업공시 실무안내"가 게시되는 곳 link http..
기업의 신평사 신용등급이란 (회사채, ABCP, 전단채 등) 투자를 하는 사람이라면 기업의 신용등급에 대해서 많이 들어봤을 것입니다.   특히, 여윳돈을 은행 정기예금 대신,  이자율이 좀 더 높은 채권, ABCP, 전자단기사채(ABSTB) 등에 투자하는 사람이라면,   A1, A2, AA 같은 신용등급 이야기를 많이 들었을 것입니다.   그리고 아마도 아래와 같은 의문을 가지신 적이 있을텐데요.     * A1은 무엇이고, A+은 무엇일까?* 왜 어떤 것은 A 뒤에 1, 2, 3 같은 숫자가 붙고, 어떤 것은 A 같은 알파벳이 A, AA, AAA 처럼 여러개가 붙는 걸까?      먼저 신용평가란 왜 하는 것일까요?   그것은 우리가 채권이나 CP 같은 어떤 금융상품에 투자할 때,  신용등급만을 보고, 큰 노력없이 투자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신용등급..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