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중국 경제

20년 만에 입장이 바뀐 중국 (NH투자증권)

반응형









<중국>이라는 기업의 영업이익, 감소



2001년 WTO 가입 이후 중국의 경상수지 흑자 폭은 크게 늘어났지만, 이제는 줄어드는 단계.



중국은 경상수지 흑자가 늘어날 때, 벌어들인 달러를 해외직접투자(기업인수합병), 포트폴리오투자(주식,채권 매입)에 사용.



앞으로 중국의 경상흑자가 줄어드는 반대 과정이 전개되면, 중국이 해외에 투자한 금액을 줄이거나 회수해야 한다는 결론.







예전만 못한 것 ① 중국과 금융으로 엮인 국가



2016~2017년 중국의 해외 주식/채권 투자는 주로 중남미, 동남아 신흥국을 중심으로 확대.



중국 금융자본의 영향이 확대된 국가들은 2018년에 금융시장 불안을 경험.



경상수지 축소로 중국이 자금을 회수하게 되면, 2019년에도 이들 국가의 불안이 재발될 가능성 있음.



중국 금융자본이 진출한 국가들 중에는 일대일로 계획에 포함된 국가들이 많음. 일대일로 역시 추진하기 어려워질 전망.








예전만 못한 것 ② 중국인이 사들인 집



캐나다와 호주의 GDP 대비 주택시가총액 비중은 380%로 미국(130%), 영국(230%) 등에 비해 월등히 높음.



캐나다와 호주 부동산 시장의 조정 가능성이 높은데, 중국 자본 이탈이 임계점을 자극하는 변수가 될 수 있음.



중국 자체보다도, 중국 금융자본이 많이 투입된 부문이 상대적으로 위험.








예전만 못한 것 ③ 요우커 전성시대를 지남



2016년만 하더라도, 월평균 방한 중국인 관광객이 70만 명에 육박했지만, 지금은 40만 명 회복도 쉽지 않음.



사드 이슈가 문제가 아니라, 중국에 예전만큼 달러가 많지 않은 점이 그 배경으로 해석.



중국 경상수지 흑자 규모가 줄어들기 시작한 이후, 요우커가 줄어듦. 요우커 관련 수혜를 보았던 산업이 쉽지 않을 전망.








미국의 對中 압박 ① 제2의 <플라자 합의> 가능성은 낮음


1985년 <플라자 합의>가 가능했던 것은 미국과 일본 중앙은행이 개입했을 뿐만 아니라, 시장 플레이어들이 엔화가 강할 자격이 있다고 믿었기 때문. 정책과 시장이 함께 믿어야 결과가 나옴.



국제화가 되어 있고, 대외증권투자가 많아야 환율 강세가 가능. 일본은 이미 1983년에 대외증권투자 금액에서 스위스를 넘어섬.



반면, 현재 중국의 대외증권투자는 일본의 10%에 불과. 위안화가 강세를 가더라도 제한적.








미국의 對中 압박 ② 시간이 걸려도, 보조금 축소를 겨냥



중국 정부의 기업보조금이 늘면, 그 후 중국의 對美 직접투자(기업 인수합병)가 늘어남.



미국 입장에서 보면, 중국 정부가 미국 기업들을 매수해서 기술력을 빼가는 것으로 비춰짐.



보조금 축소 압박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








중국이 보조금을 줄이면→ 보조금이 남용된 산업에서 공급과잉 축소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늘어난 글로벌 재고스톡 가운데 미국의 기여도는 6% 밖에 되지 않지만, 중국의 기여도는 28%.


정부로부터 보조금을 받은(특히, 국영기업들은 낮은 대출금리 혜택까지 누림) 기업들이 무리하게 설비를 늘리면서 글로벌 경제의 공급 과잉을 자극.







중국이 보조금을 줄이면→ 중국과의 불공정한 경쟁이 완화



대표적인 디스플레이 업체인 BOE의 순이익 대비 보조금 비중은 94%.



중국 조선산업의 순이익 대비 보조금 비중은 83%.



보조금을 지급받은 업종에서 나타나는 특징 ① 정부보조금을 제외하면 적자가 날 가능성이 높음, ② 채산성이 안 맞는 투자를 하기 때문에 공급과잉 발생, ③ 다른 나라 기업들이 중국 업체와 가격경쟁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중국이 무역흑자를 내는 효과.








향후 중국의 보조금 전략은 <선택과 집중>이며 자동차가 유력



G7 국가 대부분에서 조선산업은 사양산업.



중국이 선진국을 꿈꾼다고 가정할 때, 조선산업을 육성하려는 의지는 생각보다 크지 않을 듯.



반면, G7 국가 대부분은 자국 기업 고유 브랜드로 자동차를 갖고 있음. 중국이 보조금을 줄여서 모든 산업에 주지 못하고, 일부 산업에 만 줘야 한다면 그 대상은 자동차가 될 확률이 높음.








중국 보조금이 <기술력을 갖춘> 전기차에 집중될 이유



중국 정부의 환경정책은 내연기관차를 줄이고 전기차를 늘려서 대기오염을 줄인다는 데 방점.



① 무역분쟁 여파로 구경제 구조조정을 통해 대기오염을 줄이는 작업이 어려워짐. ② 석유 의존도가 높아진 데 대한 중국 정부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음 → 전기차 육성을 통해 석유 의존도를 줄이고, 대기오염도 해결하자는 입장.



단, 기술력을 갖춘 전기차 업체만을 살려서 업체난립에 따른 공급과잉 부작용은 줄이고 장기적으로 전기차를 육성한다는 입장.





같이 읽어볼한한 리포트



2018/10/31 - [경제/중국 경제] - 중국 탐방의 세 가지 결론 - 인프라투자와 감세, 금융개방, 전기차 집중 (NH투자증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