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항공, 여행

강성부펀드의 한진칼 지분매입 (이베스트)

반응형

강성부펀드의 한진칼 지분매입







1) ‘강성부펀드’의 한진칼 지분매입을 왜 한국형 행동주의의 서막으로 보는가?


● 당사는 18년 4월 30일 발간한 '자본주의를 말하다'에서, 한국의 행동주의가 활발해질 수 있는 토양이 조성되고 있고 있음을 주장하였음.



● 특히, 보유지분을 기반으로한 레버리지효과를 통해, 보유지분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현상, 즉 사회적지레(Social Lever)가 한국에서 발생하고 있는 것을 지적함(한진그룹, 현대차 그룹 사례).



● 이와 같은 배경하에, 엘리어트에 이어서, 향후 주주행동주의펀드들이 의미있는 활동사례가 다수 발생할 것으로 주장한 바 있음.



● 다만, 실제 행동주의 투자 실행측면에서는 엘리어트를 제외하고는 의미 있는 사례가 발생하지 않아왔음.



● 이의 배경은 1) 행동주의의 목표가 된 기업의 이해관계와 배치될 수 있는 본질적 특성에 대한 한계점, 2) 의결권 대결을 갈수 있을 만큼의 의미 있는 대형 행동주의펀드가(한국 행동주의펀드가 소수에 불과하여, 기대했던 것은 주로 외국행동주의 펀드) 참여하지 않았던 것임.



11월 14일 발생한 ‘강성부펀드’, KCGI(Korea Corporate Governance Improvement)의 한진칼 지분 9%매입은 한국형 주주행동주의의 서막이라고 판단함.





2) 왜 강성부펀드(KCGI)에 주목해야 할까?


● 한국은 수년간의 기업지배구조에 대한 다양한 논란에서 목격된 바와 같이, 주주행동주의의 타겟이 될 수 있는 다양한 포인트가(일감몰아주기, 승계이슈 등) 존재함.



● 다만, 이를 실행할 수 있는 Vehicle(의미있는 투자금규모를 보유한 특성화펀드)가 존재하지 않아, 이에 대한 실제 전략 실행에는 한계가 존재해왔음.



KCGI(Korea Corporate Governance Improvement)는 LK파트너스 출신인 강성부대표가, 독립하여 출범한 기업지배구조개선펀드임.



● 의결권대결을 수반할 수 있는 주주행동주의는, 행동주의투자의 목표가 된 기업의 이해관계와 배치할 수 있는 본질적 특성상 특성화펀드가, 다방면의 기업에 투자하는 일반적인 펀드보다 적극적인 실행에 유리할 수 있는 구조.



● 한국기업지배구조분석에 대한 전문적인 트랙레코드를 가진 강성부대표는, LK파트너스 시절 현대시멘트 인수(2017), 요진건설산업(2015) 지분인수 등에 대한 실행 등으로 투자부문에서도 성공적인 트랙레코드를 쌓아왔음.



● KCGI런칭에 있어서 행동주의에 최적화될 수 있는 특성화펀드를 기반으로한, 검증된 트랙레코드는 펀딩에 상당히 유리한 환경을 조성한 것으로 판단함. 



향후에도 최근 주식시장 부진과 더불어 코스닥벤처펀드 이후 마땅한 투자처를 못 찾은 증시 관련 투자자금이 몰릴 수 있는 구조로, 추가적인 기업지배구조관련 Action에도 유리한 환경이 조성될 수 있는 환경에 있다고 판단함.









3) 왜 한진칼인가?


● 한진칼은 최대주주의 지분율이 28.95%(조양호 17.84%. 조현아 2.31%. 조원태 2.30%. 조현민 2.30% 등)에서 볼 수 있듯이 승계가 완료되지 않았으며, 최대주주지분율이 30%미만에 불과하여 행동주의 공격에 대한 가능성이 존재했던 기업.



● 그외의 5% 이상 주요 주주로는 국민연금공단 8.35%, Credit Suisse Group AG 5.03%가 존재하여왔음. 소액주주는 58.38%를 차지하고 있고 있어, 지분이 소액주주들에게 상당수 분산되어 있는 기업임. 



금번 KCGI의 9% 지분매입으로, KCGI는 조양호의 뒤를 이은 2대주주로 등극함.



● 한진칼은 그동안 진행된 경영진 퇴진을 요구하는 촛불시위 및 오너일가 이슈 등 여파로, 사회적인 관심과 더불어, 그룹지배구조에 대한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온 기업.



● 행동주의투자의 가장 중요한 핵심인 사회적지레(Social Lever)가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기업 사례인 것으로 판단함.








4) 해외사례 및 한국 법률의 시사점은?


● 당사의 해외 주주행동주의펀드 사례 분석에서는(넬슨펠츠, 빌애크먼, 댄롭, 칼아이칸 등), 지난 수년간 해외에서 실행된 대표적인 행동주의사례들은 이미 상당히 오랜기간 동안 진행되어온 주주자본주의 실행(M&A, 행동주의 )으로 성숙화된 수익률을 보인 것으로 분석함(빌애크먼의 ADP 투자사례, 넬슨펠츠의 P&G투자사례).



● 오히려 그렇기에 행동주의전략 실행이 아직 주주자본주의가 무르익지 않은 한국 등 아시아권에서 이 본격적으로 실행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 바 있음.



● 한국에서는 행동주의는 매우 '낯선' 전략으로 볼 수 있음. 



행동주의의 타겟이 될 수 있는 다양한 포인트(일감몰아주기, 승계 등)을 보유한 사례들이 존재하는 반면, 이에 대한 선제적인 의미있는 행동주의 투자사례가 매우 미미했음.



● 엘리어트 사례가 존재하나, 자체업황 의존도가 크고(IT, 자동차) 초대형기업(삼성, 현대)에서 실행되어, 행동주의의 효율을 살리지 못한 사례로 판단함.



● 한진칼의 경우 한진그룹의 지주사이며, 시가총액이 14,645억원으로 앞서 사례보다 작은 규모의 주식으로 사회적지레(Social Lever)에 기반한 행동주의의 효율을 살릴 수 있는 구조임.



● 상법 제366조에 따르면 발행주식의 3%이상의 주식을 보유한 주주는 주주제안권을 갖는 동시에 임시주주총회의 소집을 청구할 수 있음



다만, 자본금 1천억원이상의 상장회사는 6개월 보유요건이 존재하여, 정기주주총회에서의 표대결이 벌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함.




5)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



● 해외와 달리, 한국은 행동주의 투자전략이 매우 '낮선' 투자전략으로, 다양한 방식의 행동주의 투자전략을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있음.



● KCGI의 검증된 트렉레코드와 더불어, 최근 주식시장 부진과 더불어 코스닥벤처펀드 이후 마땅한 투자처를 못 찾은 증시 관련 투자자금은 추가 행동주의 투자전략 실행 및 행동주의 특성화펀드의 펀딩에 유리할 수 있는 구조를 조성.



근 수년간의 주가밴드 중단에 위치한 현 주가레벨 및 최근 유가하락으로 인한 LCC에 대한 센티멘트 개선은 한진칼 주가에 우호적인 환경을 조성.



추가로, 단기로 숏스퀴즈 물량 발생 가능성으로, 단기 주가레벨업 가능성도 동시에 존재함.



주주총회까지 지속적인 뉴스플로우와 이벤트 발생가능성이 부각되어, 주가에 상방 업사이드를 제공할 수 있는 구조로 판단함.








반응형